반응형
가산금리라는 말 들어 보셨나요? 보통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때 많이 보는 단어입니다. 가산금리가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알아보겠습니다.
가산금리의 뜻
더할 가 加 + 셈할 산 算
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조건에 따라 더해지는 금리
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조건에 따라서 더해지는 금리를 가산금리라고 한다.
영어로 스프레드(Spread)라고 한다.
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때 신용도에 따라서 덧붙는 금리를 생각하면 된다.
보통 가산금리는 신용도에 따라 정해지게 되는데, 신용도가 높으면 가산금리가 낮고 신용도가 낮으면 가산금리가 높게 정해진다.
반응형
'경제 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식의 뜻, 역사, 어원 (0) | 2024.08.16 |
---|---|
서킷 브레이커의 뜻, 사이드카의 뜻, 발동조건, 역대 발동일 (0) | 2024.08.13 |
환율이란? 환율의 뜻, 변동 요인, 경제에 미치는 영향 (0) | 2024.08.02 |
국내총생산(GDP)와 국민총소득(GNI)의 뜻, 유용성과 한계 (0) | 2024.07.29 |
물가의 개념과 물가지수, 인플레이션의 정의 및 경제적 효과 (0) | 2024.07.28 |